문상 절차
상가 (빈소 도착)
  1.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문 밖에서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 둔다.
  2.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3. 분향 및 헌화 방법은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는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친다.
  4. (종교적 이유나 개인적 신념에 따라 이와 반대로 하는 경우도 있다.)
  5. 영좌 앞에 일어서서 잠깐 묵념 또는 두 번 절한다.
  6. 영좌에서 물러나 상주와 맞절을 한다. 종교에 따라 절을 하지 않는 경우는 정중히 고개를 숙여 예를 표해도 된다.
  7. 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라면 상주에게 문상 인사말을 건네는데 이 때는 낮은 목소리로 짧게 위로의 말을 하되 고인과 관련된 질문은 많이 하는 것은 좋지 않다.
  8. 문상이 끝나고 물러나올 때에는 두 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이다.
문상 예절
문상객의 옷차림
  1. 예전에 우리 조상들은 평상복이 한복이었던 관계로 흰 옷을 입고 가는 것이 예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양복을 입는 관계로 문상객의 복장도 변모하게 되었다.
  2. 기본적으로 화려한 색상의 의복이나 장식은 피하며, 가능한 무채색 계통의 단정한 옷차림이 무난하다. 고인 또는 상주와 각별한 문상객일 경우에는 아래아 같은 복장을 갖추는 것이 예의이다.

  1. 남성 문상객의 옷차림
    1. 현대의 장례 예절에서는 검정색 양복을 입는 것이 무난하다.
    2.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다.
    3. 와이셔츠는 될 수 있는 대로 화려하지 않은 흰색 또는 무채색 계통의 단색으로 하는 것이 좋다.
  2. 여성 문상객의 옷차림
    1. 검정색 상의에 무채색 계통의 폭이 넓은 치마를 입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2. 검정색 구두에 스타킹이나 양말을 필히 작용하여 맨발을 보이지 않아야 한다.
    3. 그밖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통일 시킨다.
    4. 또한 되도록 색채화장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장신구도 가능하면 피하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절하는 법
  1. 절의 의미
    1. 절이란 몸을 굽혀 공경(恭敬)을 표시하는 인사 방법으로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 예절이다.
  2. 공수법
    1. 두 손을 모아 앞으로 잡는 것을 공수라 하는데 이는 공손한 자세를 나타내며, 모든 행동의 시작이다. 공손한 자세는 어른에게는 공손한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공손한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게도 편안한 자세가 되어야 한다.
      1. 공수는 두 손을 앞으로 모아서 잡는 것을 말한다.
      2. 공수는 남자와 여자의 손 위치가 다르다.
      3. 공수는 평상시(平常時)와 흉사시(凶事時)가 다르다.
      4. 공수는 의식행사에 참석했을 때나 어른을 뵐 때 반드시 한다.
      5. 공수는 배례(拜禮, 절)의 기본동작(基本動作)이다.
  3. 평상시 남자와 여자의 공수
    1. 공수시 남자는 왼손을 위로하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두 손을 가지런히 포갠다.
      흉사때는 남녀 모두 평사시와 반대로 한다.
문상시 삼가해야 할 일
  1. 유가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 것은 실례가 된다.
  2. 상주,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3. 상주가 어리다 하여 반말이나 예의 없는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4.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한다.
  5.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문상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한다.
  6. 고인의 사망 원인, 경위 등을 유가족에게 상세하게 묻는 것 또한 실례가 된다.
  7. 집안 풍습이나 종교가 다른 경우라도 상가의 가풍에 따라 주는 것이 예의다.
  8. 망인이 연만(年晩)하여 돌아가셨을 때 호상이라 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으나, 이는 예의가 아니다.
  9. 과도한 음주, 도박 등으로 인한 소란한 행위나 고성방가는 삼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