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장례 절차
현대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3일장은 기본으로 하므로 사망 후 당일로 수시(收屍)를 행하게 되고, 사망한 다음날 습(襲)이 끝나면 바로 소렴을 하고 입관까지 하게 되어 염습의 과정이 2일째 한꺼번에 이루어지고, 3일째 발인을 하게 된다.
첫째 날
  1. 임종 및 운구
    1. 자택에서 사망 시 병원 또는 장례식장으로 이송한다.
    2. 병원에서 사망 시 장례식장으로 이송한다.
    3. 변사의 경우 경찰에 신고를 하여 사고조사반에서 수사후 장례식장으로 이송한다.
    4. 이송은 반드시 영구차량으로 등록되어 있는 차량으로만 이송이 가능하다.
  2. 사망진단서(시체 검안서) 발급
    1. 사망진다서(시체검안서)는 의사가 발급해준다.
    2. 보통 7~9통 정도 필요하다.
    3. 변사등의 경우 출장 전문의사가 발급해주는 "사체검안서"로 표기되며 사망진단서와 같은 효력을 가진다.
  3. 수시
    1. 고인의 옷과 몸을 바로 하여 수시를 한다.
    2. 대부분 장례식장에서 진행을 한다.
    3. 사잣밥 준비를 한다.(종교에 따라 생략하기도 한다.)
  4. 고인 안치
    1. 고인의 수시가 끝나면 장례식장 안치실에 고인을 안치한다.
    2. 이때 상주는 고인이 안치된 냉장시설에 대한 직원의 안내를 받고 상담을 시작한다.
  5. 빈소선택 및 빈소설치
    1. 영정사진 및 파일을 준비한다.
    2. 문상객의 인원을 고려하여 빈소를 선택한다.
  6. 장례용품 선택
    1. 관, 수의, 장지에 따른 기타물품을 선택한다.
    2. 장례지도사와 조율하여 문상객 접대를 위한 접객용품을 선택한다.
  7. 장지예약
    1. 화장을 할 경우 인터넷으로 화장예약을 신청한다.
    2. 매장을 할 경우 매장지를 예약한다.
  8. 부고
    1. 부고장 양식을 참조하여 부고장, 전화, 문자등 부고를 알린다.
  9. 상식 및 제사상
    1. 고인이 살아계신 때와 같이 식사를 올린다.
    2. 장례식장과 상담시 결정하며, 종교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둘째 날
  1. 염습 및 입관
    1. 염습은 고인을 정결하게 씻기거나 소독하여 수의를 입히는 절차이다
    2. 소렴을 하고 가족들이 참관하여 대렴을 진행한다.
    3. 고인을 관에 모시는 입관이 끝나면 관보를 덮고 명정을 확인한 후 다시 안치실에 모신다.
  2. 성복
    1. 입관 후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 다는 뜻이나 상황에 따라 돌아가신 직후 성복하기도 한다.
  3. 성복전
    1. 상복으로 갈아입고 제사음식을 차린 후 고인께 제례를 드림
    2. 지역마다 다르며, 종고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4. 문상객 접객
    1. 성복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문상을 받는다.


셋째 날
  1. 장례용품 및 장례식장 비용 정산
  2. 발인 또는 영결식
    1. 영구가 집 또는 병원 장례식장을 떠나는 절차이다.
    2. 관을 이동할 때는 항상 머리쪽이 먼저 나가야 한다.
    3. 발인 및 영결의 예를 마치면 장의차량으로 관을 운구한다.
  3. 운구
    1. 발인제가 끝난 후 영구를 장지(화장시설)까지 운반하는 절차이다.
    2. 장의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영정, 명정, 영구를 실은 후 상주, 상제, 복인, 문상객의 순으로 승차하여 운구한다.
화장의 경우
  1. 화장시설 도착
  2. 화장서류 접수
  3. 화장
  4. 수골
  5. 봉안 또는 자연장
매장의 경우
  1. 묘지도착
  2. 하관
  3. 성분(봉분)
  4. 산신제, 평토제
  5. 매장신고 및 분묘설치 신고

장례 후
  1. 사망신고
    1. 시, 읍, 면의 장에게 30일 이내 신고
    2. 꼭 장례가 끝난 후에 사망신고를 해야 한다.
  2. 기타 보험금 청구 및 유족연금 상실신고
    1. 각 보험사별로 제출서류가 다르므로 확인한다.
전통 장례 절차

첫째 날

  1. 초종
    1. 초종의 종(終)은 별세하는 순간, 운명하는 순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2. 임종(臨終), 종신(終身)등과 같으며, 운명을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1. 시신의 영혼을 부르는 의식으로서 육체를 떠나는 영혼을 부르는 행위이다.
  2. 입상주
    1. 상(喪)의 주인을 세우는 것으로 여기서 주인이라 함은 장자를 이르는 것이며 장자가 없으면 장손이 승중(承重)해서 모든 예를 받드는 것을 말한다.
  3. 역복불식
    1. 초종의 육신단절, 복의 영혼단절을 통해 완전한 죽음을 확인한 후 행하는 죽은 자에 대한 예우이다.
    2. 옷을 벗고 음식을 먹지 않는 것.
  4. 치관
    1. 호상이 목공을 시켜 나무를 가려서 관을 만들게 하는 것으로, 생전에 미리 만들어 놓기도 하였다.
  5. 부고
    1. 호상과 사서(司書)가 상가(喪家)를 위해 친척과 동료에게 서신을 발송하는 것.
  6. 목욕
    1. 시신을 목욕시키는 것을 말한다.
    1. 시신에게 옷을 입히는 것으로, 의복을 겹쳐서 입힌다.
    1. 예찬을 갖추어 장만하여 상에 진설(陳設)하고 향로(香爐), 향합(香盒), 초(촉:燭)를 그 앞에 설치하는 것이다.
    2. 습전(襲奠)이라고도 한다.
  7. 위위곡
    1. 주인 이하 모두 위(位:자리)를 정하고 위(位)에 나아가 부복(俯伏)하고 곡하는 것이다.
    1. 새로 길을 물로 씻은 입쌀과 진주(眞珠)를 장만하며, 베게를 치우고 방건을 들치고서 입안 오른쪽에 숟가락으로 쌀을 떠서 채우고 구슬 한 개를 채우며, 왼쪽과 가운데에도 이와 같이 한다.
    2. 함이 끝나면 베개를 도로 괴고 방건을 걷고 수관을 씌우고 충이를 하고 명목을 덮어 싸매고 리를 신긴 뒤 상복을 입히고 대대를 매고 악수를 싸매고서 이불을 덮는다.
  8. 영좌
    1. 시신의 자리를 뜻하는것으로 육체를 대신하여 유의(遺衣), 영혼을 대신하여 혼백을 놓아 사자를 대신하고 있다.
  9. 명정
    1. 죽은 사람의 직위와 이름을 쓴 기(杞)를 명정이라고 한다.

둘째 날
  1. 소렴
    1. 죽은 다음날에 행한다.
    2. 시신을 교포, 산의, 염의로 싸는 것을 소렴이라 하며, 소렴상을 설치하고 욕석과 베개를 깔고 그 위에 교(絞:염할 때 마지막으로 묶어 매는 베, 교포)르 펴는데 가로 매는 것을 아래쪽, 세로 매는 것을 위쪽에 두며 양 끝을 세 갈래로 하여 쓴다.
    3. 그 다음에 이불, 산의(産衣:특별한 때가 아닌 평소에 입는 옷), 염의 일습을 깐다.
    4. 베개를 빼고 갠 옷을 펴 머리 밑에 깔고 양끝을 말아서 양 어깨 쪽의 빈 곳을 채우고 또 옷을 말아 양 정강이 사이에 끼워서 모가 반듯하게 한다. 그런 뒤에 남은 옷을 왼 깃이 위로 가게 좌임으로 여미는데 고름은 매지 않는다.
    5. 그리고 이불로 염하는 데 아직 교로 묶어 매지 않는다. 따로 이불을 덮고 병풍을 치고 습상을 치운다.
    1. 예찬을 갖추어 장만하여 상에 진설(陳設)하고 향로(香爐), 향합(香盒), 초(촉:燭)를 그 앞에 설치하는 것이다.
셋째 날
  1. 성복
    1. 대렴한 다음 날, 즉 죽은지 나흘째 날에 오복제도에 따라 상복을 입는 것이다.
  2. 조상
    1. 예찬을 갖추어 장만하여 상에 진설(陳設)하고 향로(香爐), 향합(香盒), 초(촉:燭)를 그 앞에 설치하는 것이다.
넷째 날
  1. 대렴
    1. 소렴한 다음날 죽은 지 사흘째 날에 행한다.
    2. 소렴한 시신을 교포와 이불 및 옷으로 싸서 묶고 입관하는 절차이다.
    3. 대렴 상을 설치하고 욕석과 베개를 깐 후 교를 깐다.
    4. 교는 가로 매는 것 다섯은 아래에 두는데 두 폭을 여섯 조각으로 찢어서 다섯을 쓰며 세로 매는 것 셋은 위에 두는데 한 폭을 세 조각으로 찢어서 쓴다.
    5. 먼저 발을 싸고 다음에 머리를 싸며, 다음에 왼쪽을 싸고 다음에 오른쪽을 싼다.
    6. 먼저 보쇄로 발부터 위로 올려 감추고 나서 금모(질)로 머리부터 아래로 감춘 다음 대를 매고 관에 모신다.
    7. 평시 빠진 이와 머리털 깎은 손톱, 발톱을 관안의 네 구석에 넣고 빈곳은 옷을 말아서 막는다.
    8. 그런 뒤에 뚜껑을 덮고 임을 박고, 수보관의로 덮고서 병풍을 친다.
    9. 대렴 후 전을 올리고 대렴한 날 성빈(成殯)을 하고 전을 올린다.
장례 이후
  1. 문상/분상
    1. 문상은 멀리서 상을 듣고 의례를 행하는 것이고, 분상은 상을 듣고 장사를 지내러 집으로 달려 가는 것을 말한다.
  2. 치장
    1. 장사 기간 동안에 묘터를 잡고, 묘역을 조성하고, 돌이나 구운 자기 또는 편회등으로 죽은 사람의 공덕을 기록한 표지물인 지석을 만든다.
  3. 천구
    1. 발인 전날 아침 전제를 드리며 영구를 옮기는 것을 아뢰고 영구를 모시고 조상을 뵙는다.
    2. 이튿날 영구를 상여로 옮기고 나서 견전(遣奠:발인하기에 앞서 영국를 떠나보내기 위해 올리는 전)을 차린다.
  4. 발인
    1. 관을 상여에 싣고 장지로 가는 절차이다.
    2. 방상씨 등이 앞에서 인도하고 명기, 명정, 영차, 공포, 상여, 상주와 복인, 존장, 무복친, 빈객의 순으로 간다.
    3. 친속과 빈객은 휘장을 성밖 길가에 설치하고 영구를 멈추고 전을 올리며, 도중에 슬픔이 복받치면 곡한다.
  5. 급묘/하관
    1. 급묘는 영구가 묘지에 도착하는 것을 말하며, 하관은 관을 땅속에 묻는 것을 말한다.
  6. 반곡
    1. 영거를 모시고 천천히 집으로 오면서 슬픔이 복받치면 곡하고, 문에 이르면 곡한다.
  7. 우제
    1. 우는 편안하다는 뜻이다.
    2. 부모의 장사를 지내고 돌아와 당일 날 빈소에서 돌아가신 이의 혼령을 편안하게 해드리기 위해 제사는 지내는 것.
  8. 졸곡
    1. 졸곡은 곡을 그친다는뜻이다.
    2. 삼우 후에 강일을 만나면 졸곡을 하며, 제사는 우제 때와 같이 하고, 이후에는 조석곡만 하고 이외에는 곡을 하지 않는다.
  9. 부제
    1. 부란 합사한다는 뜻으로 신주를 조상의 사당에 함께 모시도록 하는 절차로 졸곡 다음날 지낸다.
  10. 소상
    1. 첫 기일이며, 초상으로부터 13개월이 되는 날로 만 일년을 맞아 지내는 제사이다.
  11. 대상
    1. 죽은 지 2년만에 두 번째 기일로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12. 담좌
    1. 대상 뒤 한 달을 걸러 담제를 지내며, 초상 때부터 27개월 째로 날을 받아 하고, 절차는 대상과 같다.
    2. 삼헌에는 곡을 하지 않으며, 사신에 이르면 곡으로 슬픔을 다하고, 신주를 보내고 사당에 이르러도 곡하지 않는다.
    3. 담은 담담하니 편안하다는 뜻으로 평상의 상태로 돌아가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4. 담제를 지낸 후 비로소 고기와 술을 먹을 수 있다.
  13. 길제
    1. 신주의 대를 바꾸는 제사로서 집안의 종손이 바뀌고 상주가 주인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2. 담제 다음날 날을 받아 지낸다.
    3. 담제는 이틀에 걸쳐 첫날, 신주의 분면을 고쳐 쓰는 개제고사를 드리고, 다음날 길제를 지낸다.
    4. 주인은 길복으로 성장을 하고 주부는 혼례때의 원삼 족두리를 한다.
    5. 체천하는 신주를 받들어 옮겨 묘소 옆에 묻는다.
    6. 이로서 상주는 완전히 일상으로 돌아가고 복침한다.